Aller au contenu princip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7系 ・ W7系電車)는 동일본여객철도(JR 동일본)및 서일본여객철도(JR 서일본)의 신칸센 차량이다. 2015년 호쿠리쿠 신칸센에서 등급으로 영업운전을 개시하여 E2계 대체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호쿠리쿠 신칸센 구간인 나가노역 ~ 가나자와역 구간에서 연장 운행되고 있다. 총 71개 편성이 도입 됐으며 동일본여객철도는 48개 편성을, 서일본여객철도는 24개 편성을 도입했다.

개요

2011년 12월 동일본여객철도의 발표에 따르면 기존에 호쿠리쿠 신칸센 노선에 운행하고 있던 8편성인 E2계 0번대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고속열차를 개발에 들어갔다. 2012년 9월 4일 JR 동일본 · JR 서일본 공동 개발·도입을 공식 발표한 신칸센 차량이며, JR 동일본 소유 차량이 E7계 , JR 서일본 소유 차량이 W7계가 되었다.

2013년 11월에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 첫 편성이 인도되었다. 같은 해 12월에 호쿠리쿠 신칸센에 야간 시범 운행에 들어갔고 2014년 1월부터 주간 시범 운행에 들어갔다. 같은 해 2월에 측면 로고 디자인이 최초로 공개되었다.

2014년 3월 15일에 동일본여객철도의 시간표가 개정되면서 정규 운행을 시작했다. 당시 3편성이 도입되었고 왕복 7회 운행을 했다가 같은 해 11월에 왕복 20회로 증회되었다.

같은 해 4월에 최초로 W7계 차량이 도입되었고 고베에 위치한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하쿠산까지 인도되었다. 같은 해 8월에 가나자와에서 조에쓰묘코 구간에 시범 운행에 들어갔다.

2015년 3월 14일에 개통된 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 연장 개업을 따라 W7계 차량과 함께 가가야키, 쓰루기, 하쿠타카 열차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4월부터 하반기까지 추가로 E7계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호쿠리쿠 신칸센의 경우 나가노 개통부터 E2계 0번대로 운용되고 있지만, 신칸센 차량의 평균 내구연한인 15년을 초과하면서 차량 교체에 대응하는 목적도 있다. 같은 해 5월, 제55회 일본철도클럽에서 매년 개최하는 블루리본상에서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2016년 9월과 11월에 가나자와 ~ 센다이 구간에 호쿠리쿠 직통 전용 신칸센으로 간다!(일본어: 北陸直通専用新幹線で行く!)란 명칭으로 임시열차가 운행했다. 호쿠리쿠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을 직결로 운행을 했으며 도호쿠 신칸센 오미야 이북으로 최초로 E7계만 운행했다.

2017년 다이야 개정으로 E2계 0번대 차량이 운행이 종료되면서 아사마 열차는 모두 E7계로 대체되었다.

같은 해 4월 동일본여객철도에 따르면 향후 2018년부터 2020년까지 E4계 교체와 동시에 조에쓰 신칸센 노선에 도입을 발표했다. 도입에 앞서 같은 해 9월에 오미야 ~ 니가타 구간에 시범 운행을 실시했고 2019년 3월 16일부터 조에쓰 신칸센 노선에 운행과 동시에 그랜클래스 좌석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모델

이 열차는 E5계와 마찬가지로 E2계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차량으로, E7계·W7계 열차 모델은 일본의 디자이너인 오쿠야마 켄이 제작했으며 이 열차는 미래 지향적인 스타일과 전통적인 디자인 요소를 결합한 일본 배경으로 설계되었다. 열차 선두부에 파란색 도장이 적용되었고 그 외에도 갈색과 흰색을 적용했다. 로고 숫자 7의 경우 화살표를 의미하며 주황색 도장이 적용되었고 동일본여객철도와 서일본여객철도 회사 사명까지 포함되었다.

구조

차체 외관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 더블스킨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선두차의 노즈 길이는 E2계와 같은 9.1m이다. 차체 폭은 차체 경사 장치의 생략에 의해 3380mm로 E5계에 비해 30mm 넓어졌다. 차체 단면적은 E2계의 11m²보다 약간 작은 10.9m²이다. 상하 기기는 매다는 방식(吊り下げ式)으로, 차체에서 이어지는 형상의 커버로 덮여 있으나, 대차 부분은 완전히 덮여 있지 않고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다. 차체 연결 부분의 경우 E5계에서는 장착되었던 차체간 댐퍼는 생략되었으며 다이어프램은 E6계와 같은 측면 다이어프램(側縮幌)을 채용했다.또,E2계나 E5계와 달리 12량이고 병렬연결 구조가 아니다.

대차

유욕식(油浴式) 윤활 플랜지(ツバ付) 원통 롤러 베어링·탈선 이탈 방지용 L자 가이드 장착 액슬박스를 갖춘 2장 지지판(2枚支持板)식 액슬박스 지지 경량 볼스터리스 대차로, 전동차가 DT211형, 제어차는 앞쪽(운전대 쪽)에 배장기를 장비한 TR7010A형, 뒷쪽(연결면 쪽)에 TR7010형을 장착한다.

제동은 E5계와 같은 공압식으로, 동력대차가 캘리퍼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각 차륜마다 1장), 부수대차가 캘리퍼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각 바퀴 1장)+차륜 디스크 브레이크(각 축 1장)을 장비한다.

그린차 및 보통차에는 감쇠력 절환식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그랜클래스 차인 E714형에는 공기 액츄에이터 식 풀 액티브 서스펜션과 백업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장비한다. E714형에서 풀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에러 등에 의한 고장시에는 백업으로서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이 작동한다.

E5계에 탑재된 차체 경사 장치는 최고 속도가 호쿠리쿠 신칸센에서는 260km/h, 조에쓰 신칸센에서는 240km/h로 구분됐기 때문에 장착되지 않았다.

운행 노선

현재 운행 노선

  • 조에쓰 신칸센
    • 다니가와
    • 도키
  • 호쿠리쿠 신칸센
    • 가가야키
    • 쓰루기
    • 아사마
    • 하쿠타카

객차 구성

  • 전 편성 3호차와 7호차에 팬터그래프가 존재한다.

F 편성 (동일본여객철도 소속)

W 편성 (서일본여객철도 소속)

현황

  • 총 71편성이 도입되었으며, 현재 61편성이 운행 중이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F 편성

W 편성


사건 및 사고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 차량 침수 사건

  • 2019년 10월, 태풍 하기비스의 영향으로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에 있던 동일본여객철도의 8개 편성과 서일본여객철도의 2개 편성이 침수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편성들은 폐차하기로 결정되었다.

각주

사진

아래 사진은 모두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 침수로 인해 폐차된 F1호의 모습이다.

외부 링크

  • (일본어) JR 동일본 여객철도 E7계 공식 사이트
  • (일본어) JR 서일본 여객철도 W7계 공식 사이트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by Wikipedia (Historical)



유럽 고속도로 07호선


유럽 고속도로 07호선


유럽 고속도로 07호선(European route E7, E7, E07)은 포에서 사라고사까지 이어주는 총 연장 259 km(161 마일)의 거리를 가진 국제 E-road 네트워크 간선 도로망이다.

주요 경유지

  • 프랑스 : 포
  • 스페인 : 하카, 우에스카, 사라고사

각주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유럽 고속도로 07호선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신칸센 E2계 전동차


신칸센 E2계 전동차


신칸센 E2계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2系電車)는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신칸센(1000번대는 신칸센 직행 특급(미니 신칸센), 단, 모리오카 - 하치노헤 구간은 0번대가 우스이 고개의 급구배에 대응하기 때문에 0번대도 호환이 가능하다.) 차량으로 E4계 차량과 마찬가지로 400계, E3계 차량과 중련 운행이 가능하다.

1997년 3월 22일 도호쿠 신칸센에서 고마치와 연결하는 속달 야마비코 등급으로 영업운전을 개시했다. 같은 해 10월 1일, 나가노 신칸센 개업에 맞추어 아사마의 영업 운전을 개시했다. 현재 나스노, 야마비코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개요

1997년 개통한 나가노 신칸센 아사마 및 아키타 신칸센 고마치를 병결하는 도호쿠 신칸센 야마비코 열차로 개발되었다. 2002년, 도호쿠 신칸센 하치노헤 연장에 대비, 하치노헤 급구배에 대응한 1000번대를 배차하였다. 특히 1000번대의 경우에는 신경을 많이 썼는데, 조에쓰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의 기존 구간보다 지형이 험하고 기후가 안 좋은 도호쿠 지방 북부에 대비, 와이퍼를 2개로 늘렸고 미니 신칸센 기준에 맞게 설계되었다. 그리고 기존 200계, E1계, E4계에서 사용하던 일반석 3+2 좌석을 채택함으로, 더욱 많은 사람들이 탈 수 있게 하였으나 복도가 조금 좁아졌다.

1995년 제조 초기부터 동일본여객철도의 신칸센 표준형 차량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어 200계의 치환도 염두에 두어 생산되고 있다. 1998년 12월부터 조에쓰 신칸센에서 정기 운용도 있었지만, 2004년 3월 13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13년부터 다시 운행하고 있다.

2013년을 기준으로 차량 노후화로 인해 순차별로 퇴역하고 있으며 이 중 N편성의 경우 E7계로 교체하면서 2017년에 전량 퇴역 후 폐차되었다. 2024년 3월 16일 다이야 개정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세부 모델

신칸센 E2계 0번대 전동차

신칸센 E2계 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2系電車0番台)는 1997년 10월 나가노 신칸센의 개통으로 아사마 등급으로 운행하기 위해 도입한 열차로 1997년 3월부터 9월까지 2편성이 도입되었다. 최고 영업 속도는 260km/h로 J1편성의 경우 2002년에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로 이관되면서 N21편성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에 차량 노후화로 인해 리뉴얼 작업을 실시했다. 2015년 12월에 호쿠리쿠 신칸센 정규 노선 운행을 종료했다. 2016년에 다이야 개정과 함께 차내 판매를 종료하였다. 2017년 다이야 개정으로 감사해요, E2계 아사마(일본어: ありがとうE2系あさま) 운행을 끝으로 임시 운행 종료와 동시 전량 퇴역 후 폐차되었다.

신칸센 E2계 0번대 전동차 J 편성

신칸센 E2계 0번대 전동차 J 편성(일본어: 新幹線E2系電車0番台J編成)은 1997년 3월 아키타 신칸센 개통과 동시에 도입된 차량으로 E3계 0번대와 중련 운행을 시작했다. 야마비코, 고마치 중련 운행을 했으며 199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추가로 인도되었다. 같은 해 12월부터 조에쓰 신칸센 노선에 운행을 시작했다. 2002년 9월에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 ~ 하치노헤 구간 개통 및 하야테 등급 열차 운행을 위해 10량 편성으로 증결했다. 2013년부터 2편성 폐차를 시작으로 2019년까지 전량 퇴역 후 폐차되었다.

신칸센 E2계 1000번대 전동차

신칸센 E2계 1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2系電車1000番台)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도입된 열차로 기존에 운행하고 있던 200계 차량 교체와 운행 증편을 위해 도입했다. 2000년 11월에 8량 편성이 제작되면서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로 인도 했으며 2001년 11월부터 운행에 들어갔다. 기존 E2계 모델과 달리 E4계와 마찬가지로 창문이 넓어졌다. 2002년 12월 1일에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 ~ 하치노헤 구간 개통 및 하야테 등급 열차 운행을 위해 10량 편성으로 증결과 동시에 운행에 들어갔다. 2010년에 6편성이 추가로 도입했다.

운행 노선

과거 운행 노선

  • 도호쿠 신칸센
    • 나스노
    • 야마비코
    • 하야테
  • 조에쓰 신칸센
    • 도키
    • 다니가와
    • 아사히
  • 호쿠리쿠 신칸센
    • 아사마

객차 구성

  • 전 편성 4호차와 6호차에 팬터그래프가 존재한다.

N 편성

J 편성

J 편성 (1000번대)

현황

  •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총 53편성이 도입되었다.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현재 N편성과 J편성 0번대의 경우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N 편성

J 편성

최고 속도 기록 경신

2003년 4월, 동일본여객철도는 심야 시간에 E2계 J56편성을 사용해 시범 운행을 하면서, 조에쓰 신칸센 구간 중 우라사 ~ 니가타 구간에 최고 영업 속도 362km/h를 기록했다.

보존 및 전시 차량

  • E223-23(J10편성 10호차)
    폐차 후 일단 JR 동일본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 보존 했다가 도치기현 우츠노미야에 위치한 산와테키 중공업으로 옮겨져 보존하고 있다.

더 보기

  • 신칸센 200계 전동차
  • 신칸센 E1계 전동차
  • 신칸센 E3계 전동차
  • 신칸센 E4계 전동차
  • 신칸센 E5계 전동차
  • 신칸센 E7계·W7계 전동차
  • 중국고속철도 CRH2

각주

사진

외부 링크

  • (일본어) 동일본 여객철도 E2계 공식 사이트
  • (일본어) 동일본 여객철도 E2계 홈페이지 - 일본차량제조
  • (일본어) 동일본 여객철도 E2계 1000번대 홈페이지 - 일본차량제조
  • (일본어) 동일본 여객철도 E2계 홈페이지 - 가와사키 중공업
  • (일본어) 동일본 여객철도 E2계 홈페이지 - 종합차량제작소 (구. 도큐차량제조)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신칸센 E2계 전동차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신칸센 E4계 전동차


신칸센 E4계 전동차


신칸센 E4계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4系電車)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이다. 1997년 12월 20일에 영업운전을 개시했다.

멀티 어메니티 익스프레스(영어: Multi Amenity Express)의 약칭으로 Max라는 애칭이 있다. 최고 영업 속도는 240km/h이며, 8량 편성 기준의 정원은 817명이다. 2편성 중련시 16량의 정원은 1,634명으로, 고속철도 차량으로서는 세계 최대급이다.

개요

200계의 계속적인 교체와 E1계 도입 후에도 계속 증가하는 신칸센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997년부터 제조되었다. 같은 해 12월에 도호쿠 신칸센에서 최초로 운행을 시작했다. 전차량 2층 차량으로, 도호쿠 신칸센의 나스노, 야마비코 등급으로 운행하는 열차에 대해서 Max 나스노, Max 야마비코, 조에쓰 신칸센의 도키, 다니가와 급으로 운행하는 열차에 대해서 각각 Max 도키, Max 다니가와라는 애칭이 있다. 정원 확보를 목적으로 도쿄 방면 3량의 좌석은 3+3열 형태의 배치가 되어 있으며 지정석으로서 사용되었던 적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자유석으로만 사용된다. 차체의 색은, 흰색과 파랑의 투톤이며 사이에는 경계선으로 황색 띠가 들어간다. 1999년 4월에 야마가타 신칸센 쓰바사와 중련 운전을 시작했다. 400계, 200계, E3계와 병결할 수 있는 병결장치가 모든 편성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200계랑의 병결은 2004년 3월 13일의 다이어 개정을 이후로 폐지, 조에쓰 신칸센에서는 병결운행을 하지 않고 있으며, 도호쿠 신칸센의 경우만 400계, E3계랑 병결하여 후쿠시마까지 운행, E4계는 센다이 방면으로 가며 400계, E3계는 단독으로 야마가타 신칸센을 통해 신조까지 운행한다.

일부 차량은 나가노 신칸센(현, 호쿠리쿠 신칸센)의 구배나 50Hz/60Hz의 주파수에 대응한 것이 있으며, 모든 차량이 디지털 ATC에 대응한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카트를 통한 차내 판매도 가능하게 되었다.

E4계에서는 E1계와 같이, 통상은 상하(床下, 차량의 바닥면 아래)에 탑재하는 주행기기를 상상(床上)에 배치하고 있다. 또, 제어방식은 E1계와 같은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방식이지만, 제어소자가 GTO(게이트 턴 오프 사이리스터)에서 IGBT(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로 진화했다. 또, Max는 기본MT비가 1:1(E1계는 6M6T, E4계는 4M4T)이기 때문에 대출력 모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E1계의 경우 410kW 이었던 정격출력이 E4계에서 420kW로 향상되었다. 차체는 마일드스틸제 차체였던 E1계와 달리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로 변경되었고, 터널 미기압파 현상 및 고속주행시의 소음에 대비해 선두차량은 E1계보다 전두부가 긴 형태가 되었다(E1계:9.4미터, E4계:11.5 미터). 그러나, 노즈를 길게 해 버리는 바람에 전두부 형상이 아주 특이하고 웃긴 모양이 되어, 속칭 하마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 표지등으로 HID 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2001년부터 조에쓰 신칸센과 나가노 신칸센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Max 아사마로 도쿄 ~ 카루이자와 구간을 운행 했으나 2003년 9월에 운행을 종료했다. 2005년 12월 10일에 센다이 이북 구간에서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 2011년부터 E5계의 도입으로 운행이 줄어들었다. 2012년 3월에 조에쓰 신칸센 에치고유자와 이북 구간에 16량 편성을 영업 운전을 시작하면서 오미야 이북 구간 16량 편성이 운행이 종료되었다. 같은 해 9월 28일에 오미야 이북 구간 운행이 종료되면서 야마비코, 나스노의 경우 E2계로 변경과 동시에 야마가타 신칸센 쓰바사와 중련 운행 시 E2계로 변경되었다. 시간표 개정 이전에 도호쿠 신칸센 운행 종료 기념으로 고마워요! Max 야마비코호(일본어: ありがとう!Maxやまびこ号)로 8량 편성으로 운행했다. 2014년에 내외장을 리뉴얼한 차량이 등장했다. 도장은 E1계, E2계와 같이 흰색과 파란색의 두 색을 중심으로 경계선에 분홍색의 띠가 있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아울러 로고에도 따오기의 일러스트가 추가되었다. 2016년 하반기에 전 편성이 내외장을 리뉴얼 작업이 완료되었다.

2011년 동일본여객철도 발표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전량 퇴역을 검토했으나, 2013년부터 순차별로 퇴역하기 시작했으며, 이 중 11편성은 2019년까지 폐차된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 4월 동일본여객철도에 따르면 향후 2018년부터 2020년까지 E7계 교체와 동시에 순차별로 퇴역될 예정이나 태풍 하기비스로 인한 나가노 신칸센 차량 센터의 침수로 인해 E7계 차량 중 12량 10개 편성(120량)이 폐차로 인한 조에쓰 신칸센의 차량 부족으로 한 차례 연기된 끝에 2021년 10월 1일에 다이야 개정으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10월 27일에 고마워요 Max 도키&야마비코(일본어: サンキューMaxとき&やまびこ)와 10월 17일에 고마워요 Max 도키(일본어: サンキューMaxとき)를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

편성

  • P1편성 ~ P22편성, P51편성, P52편성, P81편성, P82편성 : 조에쓰 신칸센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2012년까지 도호쿠 신칸센에서 운행했다. P1편성 ~ P22편성의 경우 도입 초기부터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 소속이나 2012년 운행 노선이 조에쓰 신칸센 일원화 되면서 현재는 전 편성이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 소속이다.
    이 외 이하의 편성에 한정하여 나가노 신칸센까지의 노선연장이 가능하며, 사고로 인해 대체 투입한 차량도 있다.

나가노 신칸센 노선연장 가능 편성

  • 나가노 신칸센에 들어갈 수 있는 편성은 다음과 같다.
    • P51편성, P52편성 : 나가노 신칸센의 우스이 고개의 급구배에 대응한다. 가루이자와까지 입선 가능하다.
    • P81편성, P82편성 : 나가노 신칸센의 우스이 고개의 급구배에 대응하며, 교류 주파수 변환장치를 탑재하여 나가노까지 입선이 가능하다. 다만 60Hz 대응은 어디까지나 긴급상황에 대비한 것이고, 이에 따라 관련 기기는 모두 50Hz 에서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의 운전이나 잦은 연장 운행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계단 부근에, 역 정차시에 '곧 멈춥니다. 난간을 잡아주세요'와 같은 내용의 방송을 할 수 있도록 방송 기기가 추가되어 있다.

사고로 인한 대체분 편성차량

  • P14편성 : 원래는 도호쿠 신칸센에서 달리던 Max 야마비코 차량이었다.(1997년 11월부터 운행 시작, 도쿄 ~ 센다이(임시편성은 모리오카까지)그러나 신칸센 200계 전동차로 운행하고 있던 도키 325호(도쿄 ~ 니가타, K25편성)가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으로 인하여 탈선하면서,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서 관리하던 P14편성이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로 넘어오면서, Max 야마비코로 운행했던 차량은 2005년에 Max 도키로 변경하면서 도쿄 ~ 니가타를 운행하는 Max 도키 325호가 되었다.

객차 구성

  • 전 차량 7호차에서 8호차까지 2층 객실에 그린차로 구성되었다. 또한 4호차와 6호차의 경우 팬터그래프가 존재한다.

차체사이드 몰딩 로고

운행 노선

과거 운행 노선

  • 도호쿠 신칸센
    • Max 나스노
    • Max 야마비코
  • 조에쓰 신칸센
    • Max 다니가와
    • Max 도키
    • Max 아사히
  • 나가노 신칸센
    • Max 아사마

현황

  •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총 26편성이 도입되었다. 현재 전 차량 폐차되었다.


보존 및 전시 차량

  • E444-1(P1편성 1호차)
    폐차 후 일단 JR 동일본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에 보관된 후 니가타 니쓰 철도박물관에 2017년 7월 15일부터 전시를 시작했다.

각주

사진

외부 링크

  • (일본어) 동일본 여객철도 E4계 공식 사이트 (Max 야마비코, Max 나스노)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22일자 기록)
  • (일본어) 동일본 여객철도 E4계 공식 사이트 (Max 다니가와, Max 도키) - 웨이백 머신 (2017년 7월 24일자 기록)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신칸센 E4계 전동차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gh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