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er au contenu princip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우드중와플라이쥐


우드중와플라이쥐


우드중와플라이쥐(학명: Otomys uzungwensis)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말라위와 탄자니아, 잠비아에서 발견된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고지대 초원과 습지이다. 서식지 감소로 위협을 받고 있다.

각주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우드중와플라이쥐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안드레아 델 사르토


안드레아 델 사르토


안드레아 델 사르토(이탈리아어: Andrea del Sarto, 1486년 7월 16일 ~ 1530년 9월 29일)는 르네상스 전성기와 매너리즘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이탈리아의 화가이다.

생애

안드레아 델 사르토는 1486년 7월 16일에 피렌체에서 재단사로 일하던 아뇰로 디 프란체스코(Agnolo di Francesco)와 코스탄차 디 실베스트로(Costanza di Silvestro)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안드레아 다뇰로 디 프란체스코 디 루카 디 파올로 델 밀리오레(Andrea d'Agnolo di Francesco di Luca di Paolo del Migliore)이다. '안드레아 델 사르토'(Andrea del Sarto)라는 별칭은 이탈리아어로 "재단사의 아들인 안드레아"를 뜻한다.

안드레아 델 사르토는 1494년까지 금 세공업자로 근무했고 1498년까지 화가 겸 목각 작품 제작자인 잔 바릴레와 함께 활동했다. 피에로 디 코시모, 라파엘리노 델 가르보로부터 미술 교육을 받았고 1509년부터 1514년까지 프란차비조, 안드레아 디 코시모와 함께 성모 마리아의 종 수도회의 의뢰를 받아 피렌체에 위치한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에 그려진 프레스코 벽화 7점을 제작했는데 이 가운데 5점은 프레스코 벽화 연작 《필리포 베니치의 생애와 기적》을 구성했다.

안드레아 델 사르토는 1514년에 피렌체에 위치한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에 그려진 프레스코 벽화 《처녀의 탄생》을 제작했는데 이 작품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프라 바르톨로메오의 미술 기법에 영향을 받은 것이 특징이다. 1518년부터 1519년까지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 국왕의 초청을 받아 파리에 거주했고 1520년에 피렌체로 돌아가서 미술 활동을 진행했다.

안드레아 델 사르토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미술 작품에서 영향을 받은 스푸마토 기법,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미술 작품에서 영향을 받은 고전주의 기법, 라파엘로 산치오의 미술 작품에서 영향을 받은 안정적인 구도를 결합한 미술 작품을 제작했다. 1530년 9월 29일에 피렌체에서 확산된 가래톳페스트로 인해 사망하게 된다.

안드레아 델 사르토는 1512년 12월 26일에 모자 장수의 과부였던 루크레치아 델 페데와 결혼했는데 루크레치아는 안드레아 델 사르토가 제작한 성모자상의 모델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안드레아 델 사르토의 제자였던 조르조 바사리는 안드레아 델 사르토의 전기를 집필했다고 전해진다.

주요 작품

  • 《필리포 베니치의 생애와 기적》 (1510년, 프레스코 벽화 연작, 피렌체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 소장)
  • 《처녀, 자녀, 엘리사벳, 세례자 요한》 (1513년경, 런던 내셔널 갤러리 소장)
  • 《예술가의 아내의 초상화》 (1513년 ~ 1514년,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소장)
  • 《처녀의 탄생》 (1513년 ~ 1514년, 프레스코 벽화, 피렌체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 소장)
  • 《하르피이아의 성모》 (1517년, 유화, 피린체 우피치 미술관 소장)
  • 《공물을 받은 율리우스 카이사르》 (1520년경, 이탈리아 포조아카이아노에서 제작, 알레산드로 알로리가 완성함)
  • 《계단의 마돈나》 (1522년경 ~ 1523년, 유화,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소장)
  • 《판차티키의 승천》 (1522년 ~ 1523년, 유화, 피렌체 피티궁 소장)
  • 《파세리니의 승천》 (1526년, 유화, 피렌체 피티궁 소장)
  • 《세례자 요한과 성가족》 (1529년경, 유화,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시 미술관 소장)

외부 링크

  • Andrea del Sarto in the "History of Art" Archived 2020년 7월 26일 - 웨이백 머신
  • Browning's "Andrea del Sarto" (aka "The Faultless Painter")
  •  〈Andrea del Sarto〉. 《가톨릭 백과사전》. 1913.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안드레아 델 사르토 by Wikipedia (Historical)



인식


인식


인식(認識, cognition) 또는 인지(認知)는 대상을 아는 일이다. 객관적 실재의 의식으로부터의 반영이다.

인식은 인간의 실천에서 시작되며, 실천을 통해서 처음으로 감각적 직관에 의한 직접적·개별적·구체적인 감성적 인식이 형성된다. 이는 사물의 본성을 포착한 것이 아니라 외면적인 인상 같은 것이다. 이 감성적 인식을 방침으로 하여 다시 실천을 계속하면 그릇된 점은 정정되고 다른 사물과의 비교·구별 등을 통하여 개념·판단·추리를 하며 사물의 본질적인 이성적 인식을 얻는다. 이 이성적 인식을 일반적으로 인식이라 부른다. 참된 의미에서의 이성적 인식(진리)은 개인적 실천뿐만 아니라 인간 사회의 역사적 축적, 다수의 인식(집단성)으로 이루어 지게 된다.

심리학에서의 인식

과학으로서 심리학에서도 인식이라는 개념, 용어가 사용된다. 심리학의 경우, 기본적으로 소박실재론을 전제하여 철학과는 다른 개념이다.

심리학이나 다른 관련분야에서는 인식(Cognition}과 인지가 서로 같은 용어에 해당하며 인지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예로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으로, 심리학의 한 분야인 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으로 번역된다. 인지기능은 지능의 토대가 되고 정서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한편 인지(또는 인식)는 자극을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일련의 정신 과정으로 지각, 기억, 상상, 개념, 판단, 추리를 포함하여 무엇을 안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용어로 쓴다. 많은 연구에서 의식적인 처리는 비의식적인 처리와 병행처리되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받아들이고 있다. 파이현상(phi phenomenon) 등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인지기능에서 예측이나 준비반응은 지각, 기억뿐만 아니라 상상, 개념, 판단, 추리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일부 과학자들은 언어가 지능의 부산물일 수도 있지만 지능이 언어의 부산물일 경우에서 더 쉽게 언어와 지능의 상관관계가 이해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도 한다.

같이 보기

  • 언어습득장치
  • 휴리스틱 이론
  • 인지부조화 이론

각주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인식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회색짧은꼬리주머니쥐


회색짧은꼬리주머니쥐


회색짧은꼬리주머니쥐(Monodelphis domestica)는 주머니쥐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 주머니쥐의 일종이다. 지놈 염기 서열이 밝혀진 최초의 유대류 종이다. 과학 연구용 모델 생물의 일종이며, 애완 동물 거래가 자주 발견된다. "브라질주머니쥐" 또는 "우림주머니쥐"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특징

회색짧은꼬리주머니쥐는 비교적 작은 동물로 겉모습이 물밭쥐류와 유사하다. 야생에서 회색짧은꼬리주머니쥐의 몸길이는 12~18cm, 몸무게는 58~95g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그러나 포획된 상태에서는 수컷이 아주 많이 커서, 수컷 몸무게는 최대 150g에 이른다. 이름이 함축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주머니쥐류보다 꼬리가 짧으며 5~9cm 정도이다.

거의 몸 전체가 회색빛 갈색을 띠고, 하체로 갈수록 점차 희미하고 연한 색을 보이며 발 쪽은 거의 흰색에 가깝다. 꼬리의 몸 쪽 부분만 털이 있고, 꼬리 전체는 거의 털이 없다. 발톱이 잘 발달되어 있고, 휘어져 있다. 대다수의 다른 유대류와 달리 암컷에게 육아낭이 없다. 일반적으로 13개의 젖꼭지를 갖고 있으며, 표면 안 쪽에 힘줄이 있어서 몸 쪽으로 끌어 들일 수도 있다.

분포 및 서식지

일반적으로 브라질 남부와 중부, 서부의 아마존강 남쪽에서 발견된다. 볼리비아 동부와 파라과이 북부 그리고 아르헨티나 북부 포르모사주에서도 발견된다. 우림 환경과 관목 지대 그리고 농경지에서 서식하며, 집 주변에 나타나기도 한다. 알려진 아종은 없다.

각주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회색짧은꼬리주머니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생물종에 Monodelphis domestica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회색짧은꼬리주머니쥐 by Wikipedia (Historical)







Text submitted to CC-BY-SA license. Source: by Wikipedia (Historical)



INVESTIGATION